News
헬스허브의 최근 소식과 공지사항을 소개합니다.
-
보도자료헬스허브 '혁신형 국가대표 1000' 합류헬스허브 외 72개 헬스케어 社 “혁신형 국가대표 1000”합류 정부는 지난 6일 2022년까지 각 산업부문 대표 혁신기업 1000개+a 개를 선정하는 ‘혁신형 국가대표 1000’의 3회차 대표 혁신기업 321개 중 헬스허브는 과학시술정보통신부에서 선정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선정 기업의 금융 지원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며, 금융지원단계와 투자지원에서는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를 유도한다고 한다. 또한 IR 등을 개최해 민간 투자자금 유치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전문> 정부는 지난 6일 2022년까지 각 산업부문 대표 혁신기업 1000개+α개를 선정하는 ‘혁신형 국가대표 1000’의 3회차 대표 혁신기업 321개를 선정했다. 대표 혁신기업은 그동안 5개 부처(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가 2차에 걸쳐 279개 기업을 선정했는데, 이번에는 4개 부처(국토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특허청)가 추가된 9개부처에서 321개 기업을 뽑은 것이다. 의학신문·일간보사 확인 결과, 이번 3회차 혁신기업 중 보건의료와 관련 있는 ‘건강‧진단’ 분야에서는 7개 부처 73개 기업이 선정됐다. 부처별로 살펴보면, 우선 산업부 선정 기업은 △고큐바테크놀로지 △락토메이슨 △메디팹 △쎌바이오텍 △에코맘의산골이유식 △엔에프 등 6곳이다. 과기부 선정 기업은 △대웅 △대웅제약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딕스젠 △라파스 △레모넥스 △바이오리더스 △비티씨 △셀비온 △엠디헬스케어 △이노와이어리스 △코젠바이오텍 △파멥신 △파미니티 △피코팩 △한국야쿠르트 △헬스허브 △노을 △뉴로핏 △룰루랩 △아이도트 △원소프트다임 △지비소프트 △팀엘리시움 등 24곳이다. 복지부 선정 기업은 △메디웨일 △메디슨파크 △메디허브 △미라셀 △올릭스 △이와이어라이너 △오퍼스원 △빌릭스 △제노팜 △케이메디시스 △유스바이오글로벌 △유엠아이옵틱스 △케어메디 △비에스엘 △스킴스바이오 △제이어스 △바이오니트 △브레인기어 △루닛 △아이비엠솔 △제이피듀엣바이오 등 21곳이다. 중기부 선정 기업은 △다노 △디알텍 △메디픽셀 △베이글랩스 △스파이더코어 △엘베이스 △올리브헬스케어 △휴톰 △화이바이오메드 등 9곳이다. 통계청 선정 기업은 △링크옵틱스 △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바이오메트릭스테크놀로지 △서린메디케어 △솔고바이오메디칼 △에프앤디파트너스 △이지엔도서지컬 △인트인 △바이오뱅크 등 9곳이다. 그 외에도 해수부 정옥, 웰피쉬 등 2곳, 문체부 디랙스, 론픽 등 2곳이 각각 선정 기업으로 뽑혔다. 이와 관련, 정부는 선정 기업의 금융 지원에 대한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선정단계에서는 혁신성‧기술성을 동시에 평가하는 한편, 신용유의정보, 직전년도 전액 자본잠식 여부 등 금융지원의 결격요건을 감안할 계획이다.(4회차 선정시부터 적용) 금융지원단계에서는 각 정책금융기관에서 최소한의 심사를 거쳐 지원한도·조건 등을 우대 지원한다.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이라도 혁신성, 기술력 등을 감안한 별도의 심사기준을 통해 지원하고, 전결권 하향조정 등을 통해 신속한 의사결정이 이뤄지도록 하겠다는 것. 대표 혁신기업에 대한 금융지원에는 업종별 한도의 적용을 배제하고, 운영자금 한도를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산업은행‧기업은행은 추정매출액의 25~50%에서 50~60%으로, 한국수출입은행은 수출실적의 50~90%에서 수출실적의 100%로 각각 확대한다. 단, 감가상각, 기업가치, 자기자본 규모를 고려해 최종 지원한도를 결정하며, 혁신성‧기술성 등을 감안해 최대 0.9~1.0%p 금리를 감면 적용한다. 보증의 경우, 최고 보증한도(신용보증기금 150억원, 기술보증기금 100억원) 내에서 운영자금 한도를 확대 적용하면서 기존 추정매출액의 1/4~1/3에서 추정매출액의 최대 1/2까지 확대한다. 이 때에도 감가상각, 기업가치, 자기자본 규모를 고려해 최종 지원한도를 결정하며, 보증비율을 확대(85%→95%)하고, 보증료율가 감면(△0.4%p)된다. 투자지원에서는 정책형 뉴딜펀드(산은‧성장금융), 혁신솔루션펀드(기은) 등을 활용해 혁신기업에 대해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해나가며, 산은 NextRound, 시중은행 대상 설명회, 선정부처별 혁신기업 국가대표 1000 IR 등을 개최해 민간 투자자금 유치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이승덕 기자 sdpress@bosa.co.kr <저작권자 © 의학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73 companies joining ‘Innovative 1000 National Group,’ including Healthhub On May 6th, the government selected 321 companies to represent the ‘Innovative 1000 National Group’ as the 3rd representative innovating companies that selects 1000+α innovative companies in each industry sector by 2022. HealthHub was included among 24 selected companies of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regard, the government has drawn up guidelines to increase the predictability of financial support for selected companies. In investment support, it plans to actively invest in innovative companies by using policy-type New Deal funds (KDB and Growth Finance) and innovation solution funds, and to...2021.05.13
-
보도자료[인공지능기업을 찾아서] 의료정보 솔루션 기업 ‘헬스허브’스마트폰 안에 MRI 사진이 '딱' AI시대의 똑똑한 환자생활 “이게 인대가 끊어졌던 제 무릎 엑스레이 사진입니다.” ‘Hscan’이라는 앱을 본 사람들은 대부분 이렇게 반문한다. “이게 가능해요?”라고. 스마트폰에서 자기공명영상(MRI)이나 엑스레이(X-ray), 컴퓨터단층촬영(CT) 등의 정밀 검사 사진을 볼수 있고, 의료진에게도 공유가 가능한 이 앱을 개발한 기업은 ‘헬스허브(대표 이병일)’. 김홍식 헬스허브 본부장은 ‘의료’와 ‘AI’가 결합된 ‘현주소’를 스마트폰으로 보여주며 이렇게 말했다. “입사를 하면, CT, MRI 등 각종 검사를 위한 병원비를 회사에서 지원해줘요. 아직까지 비보험인 뇌혈관질환, 심혈관 질환 등도 검사받게 해주죠. 당연히 ‘Hscan’에 저장, 기록할 수 있고요. 직원들의 건강관리 하나 만큼은 자부합니다.” 상호명에 걸맞게 회사가 주는 혜택도 신선하다. 이 회사, 궁금하다. 2012년 창업한 ㈜헬스허브는 의료영상 저장장치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인 dicomlink를 개발해 시장에 공급하고 있다. dicomlink 플랫폼에는 앞서 소개한 △ HScan(의료영상을 쉽게 보관하고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개인 의료영상 보관 플랫폼)을 비롯, HPACS (각종 의료영상을 웹 브라우저를 통해 열람하고, 판독 및 분석해 저장하고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HTelerad (의료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소에 있는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원격 판독·제공) △BoneAgeA.I(인공지능 기반의 골연령 측정 시스템) △ HRefer (병원과 병원간의 협진을 도와주는 클라우드 플랫폼)등의 서비스를 보유하고 있다. 결과물을 보면 알 수 있듯 ‘환자 중심의 의료 주권회복’을 위해 달려온 셈이다. 지난 9월 광주광역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헬스허브는 광주지점과 연구소 설립으로 더 바쁜 나날을 보내고있다. 큰 그림은 이렇다. 광주시가...2020.12.16
-
보도자료[디지털조선] KT-헬스허브, AI 의료영상 플랫폼 업무협약 체결KT가 의료영상 원격판독 플랫폼, 의료정보 솔루션 전문 기업인 헬스허브와 손잡고 인공지능(AI)∙클라우드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선보인다. KT는 헬스허브와 클라우드 기반 원격판독 서비스∙AI 의료영상분석 솔루션 개발 및 공동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 EAST 사옥에서 진행된 협약식에는 KT AI/DX융합사업부문 이용규 상무(본부장)와 헬스허브 이병일 대표이사 등 각 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 KT AI/DX 융합사업부문 이용규 상무(사진 왼쪽)와 헬스허브 이병일 대표(사진 오른쪽) / 사진제공=KT 헬스허브는 국내 영상의학 원격판독 시장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는 업계 선두주자로, AI 기술을 접목한 의료영상 저장장치 소프트웨어와 플랫폼을 개발해 서비스하고 있다. 현재 국내 1,200여 개의 의료기관과 협력 중이며, 연간 약 300만 건의 의료영상을 판독했다. 의료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장소에 있는 영상의학과 전문의에게 판독・제공해주는 원격판독플랫폼 ‘HTelerad(에이치 텔레라드)’, AI 기반 골 연령 측정 시스템인 ‘Bone Age AI(본에이지 AI)’ 등 다양한 의료 솔루션 기반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양 사는 KT의 클라우드, AI, 5G와 같은 ICT 플랫폼 역량과 헬스허브의 원격판독∙의료 AI 솔루션 역량을 결합한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을 추진해 시장 점유율 상승을 노린다. 시장분석 기관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Allied Market Research)는 세계 의료용 AI 소프트웨어 시장은 2025년까지 86억 달러 규모로 대폭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KT는 헬스허브와 함께 클라우드, AI 기반의 의료영상 플랫폼 개발로 의료영상을 정확하고 빠르게 원격진단 할 수 있도록 협력하며, 세부적으로는 KT 클라우드로 안전하고 빠르게 의료영상 플랫폼 제공, AI를...2020.10.22
-
보도자료국내 영상의학 원격 판독 시장 선두주자 ‘헬스허브’국내 영상의학 원격 판독 시장 선두주자 ‘헬스허브’ 국내 영상 원격판독 시장 점유율 60% ‘헬스허브’는 병·의원들의 지분 투자로 설립된, 의료 행위 외의 병원 경연 전반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한다. 흔희 병원경영지원회사(MSO)로 불린다. 의료 기관들이 헬스허브가 만든 플랫폼을 통해 영상 판독을 의뢰하면 서울에 있는 휴먼영상의학센터에서 원격 판독한다. 휴먼영상의학센터는 헬스허브가 경영지원 한다. 휴먼영상의학센터에는 100여 명에 가까운 영상의학 전문의가 판독 업무를 하고 있다. 국내 큰 규모의 대학병원보다도 많은 인원이다. 환자들을 직접 의료영상 촬영· 검진하고, 전국에서 의뢰한 의료 영상을 판독한다. 자세히 보기 : http://www.sisanewszi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702020.05.14
-
보도자료베스핀글로벌, 헬스허브와 함께 의료 클라우드 ‘맞손’베스핀글로벌, 헬스허브와 함께 의료 클라우드 ‘맞손’ 베스핀글로벌(대표 이한주)은 원격 판독 서비스 기업인 헬스허브 (대표 이병일)와 클라우드 사업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2일 밝혔다. 헬스허브는 헬스케어 AI 플랫폼 기업으로 누적 17억장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다. 특히 헬스허브의 HPACS는 국내 최초의 순수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영상(PACS) 솔루션으로 헬스허브 의료인공지능 연구소에서 개발한 AI기술이 접목됐다. 현재 헬스허브는 국내 원격판독 시장의 60%를 점유하고 있다. 또한 미국, 호주, 일본, 독일, 베트남, 몽골 등 해외로 사업을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양사는 의료산업의 클라우드 혁신을 가속화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고 전했다. 의료산업을 위한 클라우드 기술 기반 사업모델 기획, 개발과 세일즈, 마케팅 부분에서 협력한다. 자세히 보기 : http://www.ddaily.co.kr/news/article/?no=1864782020.05.14
-
보도자료韓 원격판독 시장 60% 거머쥔 '헬스허브', 해외 본격 진출韓 원격판독 시장 60% 거머쥔 '헬스허브', 해외 본격 진출 국내 원격판독 시장 60% 차지 헬스허브는 국내 원격판독의 약 60%를 담당하고 있다. 국내 원격판독 시장은 작년 기준 300억~400억원 대 규모로 다른 나라에 비해 작은 편이다. 헬스허브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MRI, CT 등 원격판독 수가·수수료가 다른 나라보다 전반적으로 저렴하다”며 “원격 판독 수수료만 따져 보수적으로 잡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헬스허브는 국내 620개 의료기관과 계약을 맞고 있으며 2017년 한 해에만 195만건의 의료영상을 판독했다. 2012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누적 건수는 4억장에 달한다. 국내에서는 의료인과 비의료인 간의 원격진료는 허용하고 있지 않으나 의료인 간의 원격진료는 허용하고 있다. 원격 판독 역시 합법 행위에 해당한다. 자세히 보기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2/06/2018020600920.html2020.05.14